핸볼소개
경기규칙
경기운영
경기 운영은 아래의 내용과 같이 경기 진행 방법 및 반칙 & 퇴장 등의 규정에 따라 진행한다.
(학교 상황과 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지도자의 재량에 따라 완화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.)
복장
- 같은 팀 구성원은 동일한 색의 조끼를 입고, 각자 자신의 역할에 맞는 조끼를 착용한다.
- 세트 간 역할을 교대하는 경우, 해당하는 역할이 적힌 조끼를 서로 바꿔 착용한 뒤 경기에 참여한다.
- 다른 선수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액세서리나 장신구는 착용하지 않도록 한다.
팀 구성
- 각 팀은 최대 13명으로 구성할 수 있다. 코트 위에는 최소 8명의 팀원이 반드시 출전해야 한다. (선수 6명, 볼스태프 2명)
- 각 팀마다 주장을 1명씩 정한다. 주장은 역할과 관계없이 지정될 수 있다.
- 참여 학생 수에 따라 스코어와 기록원은 생략하거나 다른 팀 인원으로 대체할 수 있다.
- 각 팀은 최대 3명까지 교대 선수를 둘 수 있으며, 심판의 별도 승인 없이 교대 구역에서 자유롭게 교대가 가능하다.
선수 교대
- 선수 교대는 심판의 별도 승인 없이 자유롭게 가능하다.
(단, 혼성 경기의 경우 같은 성별의 선수끼리 교대가 가능하다.) - 선수 교대는 자신의 팀 교대 구역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며, 코트 안의 선수가 경기장 밖으로 나온 후 교대 선수가 코트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.
이를 지키지 않을 시 해당 교대 선수에게 즉시 일시 퇴장이 주어진다. - 선수 교대는 선수 역할을 맡은 선수와 교대 선수 사이에만 가능하다.
특수 수행 역할을 맡은 선수는 세트가 끝날 때까지 교대가 불가능하다.

선수교대방법
경기 시간
및 승패 결정
- 경기는 3세트 2선승제를 원칙으로 진행된다.
- 경기 시작 후 어느 한 팀이 먼저 7점을 득점한 경우 즉시 세트가 종료된다.
- 만약 경기 시작 후 10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세트가 종료되고 이때, 득점이 더 높은 팀이 승리하며 동점인 경우는 무승부 처리된다.
- 3세트 경기 결과가 1승 2무일 경우 1승 팀이 최종 승리한다.
- 3세트 경기 결과가 1승 1무 1패 또는 3무일 경우, 승부 던지기(5m 드로우)를 진행한다.
*승부던지기의 경우 각 팀에서 5명씩 선정하여 골에리어라인에서 슈팅한다. - 세트 간 휴식 시간은 2분이다.

경기 진행
-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렬로 정렬해 상대팀을 마주 보고 라인업한 후, 심판 신호에 따라 상호 인사를 나눈다.
- 양 팀의 주장이 가위바위보를 실시하여 승리한 팀이 선공/코트 선점 중 하나를 선택한다.
※ 2세트의 경우 각 팀 코트와 공격권을 서로 바꾸어 진행하고, 3세트는 다시 가위바위보로 공격권을 결정한다. - 공격권 결정 후 각 팀 코트에서 팀 파이팅 세리머니를 진행한다. 세리머니 이후 볼스태프는 자신의 팀 볼스태프 구역으로 이동한다.
- 선수 전원은 자신의 팀 코트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격권을 가진 팀의 드로오프로 1세트 경기를 시작한다.
- 일반적인 반칙, 드로 상황은 가장 가까운 사이드라인 마크에서 드로인으로 시작한다.
- 득점, 라인크로스 반칙, 골라인 아웃은 골에리어 영역에서 볼스태프에게 볼을 받아 골드로로 경기를 재개한다.
- 경기가 종료되면 심판의 신호에 따라 볼스태프를 포함한 모든 선수가 센터라인에 라인업하여 마주보고, 심판이 경기 결과를 선언한다.
- 다친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고 심판 신호에 따라 상호 간의 인사로 경기를 마무리한다.
득점
- 득점 점수는 골대의 코너 사각형 공간을 1점, 중앙 원형 공간을 2점으로 한다.
- 볼이 골대 전면부 네트를 완전히 통과하여 골득점 공간에 들어갔을 경우에만 득점으로 인정된다. 만약, 볼이 네트를 완전히 통과하지 않고 다시 골대 바깥으로 나온 경우에는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.
- 드로오프, 드로인 상황에서 원 패스 이후 슈팅한 경우에만 득점으로 인정된다. 만약, 원패스 없이 바로 슈팅한 경우에는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재드로를 선언하여 경기를 재개한다.
- 골드로 상황에서 원패스 이후 추가 패스 없이 바로 슈팅한 경우,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재드로를 선언하여 경기를 재개한다.
- 공격 선수가 손에 볼을 쥔 채로 골에리어라인을 밟거나 넘어서 슈팅한 경우, 득점이 인정되지 않는다.
- 센터라인을 넘지 않은 상태에서 슈팅을 시도해 골을 넣는 경우는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.
- 슈팅한 볼이 2회 이상 바운드되어 골득점 공간에 들어간 경우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.
드로
- 세트 드로오프는 경기장 센터라인 중앙에서 시작되며 심판의 휘슬이 울린 후 초 이내에 같은 팀 선수에게 패스한 뒤 시작해야 한다. 양 팀의 선수는 세트 드로오프가 시작되기 전까지 상대팀 코트로 넘어갈 수 없다.
- 득점 드로오프 또는 골드로 상황에서는 수비 선수 명이 골에리어 영역 안으로 들어와 볼스태프에게 건네받은 볼을 같은 팀 선수에게 원패스하며 시작해야 한다.
- 수비팀의 골드로가 선언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.
- • 라인크로스 (공격 선수)
- • 골라인 아웃
- • 수비 선수의 신체 일부분을 맞고 볼이 골에리어 영역 안에 멈추었거나 골대에 볼이 닿았을 경우
- 볼이 수비 선수의 신체 일부분을 맞고 그대로 골라인을 벗어날 경우에는 공격팀의 드로인이 선언된다.
- 반칙이나 사이드라인 아웃 상황에서는 아웃 오브 플레이가 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사이드라인 마크에서 드로인으로 시작된다 이때 드로인은 반드시 해당 팀의 코트 방향으로 공격의 반대 방향 이루어져야 한다. 이를 지키지 않을 시 재드로가 선언된다 .
- 사이드라인 아웃 상황에서는 마지막으로 터치한 선수의 상대팀에게 드로인이 선언된다.
- 드로오프, 드로인, 골드로 등 모든 드로 상황에서의 진행되는 원패스는 차단할 수 없다. 이를 어기고 차단할 시 해당 선수에게 경고가 주어진다. 단, 원패스가 센터라인을 넘어 상대 코트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공격으로 간주하고 수비팀이 패스를 차단할 수 있다.
- 모든 드로는 심판의 신호 후 초 이내에 시행해야 한다. 3초가 지날 경우 상대팀의 드로인이 선언되며 공격권이 넘어간다.
- 재드로가 선언된 상황에서도 해당 규칙을 지키지 않을 시 상대팀에게 공격권이 넘어간다.
반칙
수비자 반칙
- 수비 선수가 신체의 일부분을 활용하여 공격 선수를 의도적으로 밀거나 잡는 경우
* 움직이는 과정에서 단순하게 신체 일부분이 닿는 등의 자연스러운 몸 수비는 허용 - 수비 선수가 수비하는 과정에서 골에리어라인을 밟거나 골에리어 영역 안에 들어가 수비하는 경우
* 어떠한 이득을 취하려는 의도 없이 골에리어 영역을 침범한 경우는 반칙으로 적용되지 않음 - 공격 선수가 이미 슈팅한 볼을 골에리어라인 안에 들어가서 막는 경우
- 수비 선수가 공격 선수의 패스 또는 슈팅을 무릎 아래의 다리를 이용하여 막는 경우
- 공격 선수가 골에리어라인 앞에서 슈팅을 시도할 때, 수비 선수가 공격 선수의 얼굴 앞을 손바닥으로 가리는 경우
* 수비 선수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공격 선수의 앞에 위치하여 수비를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닐 경우, 공격 선수에게 슈팅의 기회를 보장해야 함 - 수비 선수가 공격 선수의 손에서 볼을 끌어내거나 쳐내는 경우
* 수비 선수가 온전히 소유하고 있는 볼은 빼앗을 수 없음
공격자 반칙
- 오버스텝: 볼을 가진 선수가 5보 이상 걷는 경우
- 오버타임: 볼을 가진 선수가 3초를 초과하여 볼을 들고 가만히 서 있는 경우
- 더블 드리블: 드리블을 하다가 볼을 잡은 후 다시 드리블을 하는 경우, 손바닥이 위를 향한 채 볼을 들고 드리블을 하는 경우
- 라인 크로스: 볼을 가진 선수가 골에리어 영역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, 슈팅 시 마지막 디딤발이 골에리어라인을 밟거나 완전히 넘어간 경우
* 슈팅 시 손에서 공이 떠난 이후에 골에리어라인을 밟거나 골에리어 영역 안에 들어가는 경우는 라인 크로스에 해당하지 않는다. - 킥킹: 경기 중 볼이 무릎 아래 닿을 경우
- 기타 공격자 반칙: 볼을 소유한 공격 선수가 움직이지 않는 수비 선수에게 달려들어 충돌을 일으켰을 경우
패널티드로
- 경기 중 다음과 같은 반칙이 발생할 경우, 페널티드로가 선언된다.
- • 공격 선수의 슈팅 상황에서 수비 선수가 과도한 반칙을 범할 경우
- • 수비 선수가 골에리어 영역 안으로 들어가 공격 선수를 수비하는 경우
- • 공격 선수가 이미 슈팅한 볼을 수비 선수가 골에리어 영역 안으로 들어가 막는 경우
- • 공격 선수가 골대를 향해 슈팅한 볼이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볼스태프가 골에리어 영역 안으로 들어온 경우
- 페널티드로가 적용되는 반칙이 발생함과 동시에 슈팅을 시도하여 득점이 되었을 경우, 득점으로 인정하고 페널티드로를 부여하지 않는다.
- 페널티드로는 반칙을 당한 선수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.
- 페널티드로의 득점 또한 일반 득점 상황과 동일한 득점 기준이 적용된다.
- 페널티드로는 심판의 휘슬 후 3초 이내에 골대를 향해 슈팅함으로써 시행된다.
- 페널티드로 수행 시, 라인 크로스 규칙을 어기거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기준발이 바닥에서 떨어진 경우 득점이 무효 처리된다.
- 페널티드로를 던지는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는 골에리어라인으로부터 1m 이상 떨어져야 한다.
경고
- 아래와 같은 반칙을 범한 경우 경고가 주어진다. 2회 이상 경고 누적 시 일시 퇴장이 주어진다.
- 상대 선수의 신체를 향해 과도하게 반칙한 경우 (불필요한 팔꿈치 사용 등)
- 의도적으로 경기 진행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는 경우
- 경기를 지연할 목적으로 상대팀의 원패스를 차단한 경우
- 골대를 향해 슈팅한 볼이 완전히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볼스태프가 골에리어 영역에 들어와 볼을 터치한 경우
퇴장
일시 퇴장
- 아래와 같은 반칙을 범한 경우 일시 퇴장이 주어진다.
- 공격 선수가 이미 슈팅한 볼을 수비 선수가 골에리어라인을 밟거나 골에리어 영역 안으로 들어가 막는 경우 (+페널티드로)
- 공격 선수의 슈팅 상황에서 상대 선수의 신체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과도한 반칙을 범한 경우 (+페널티드로)
- 볼스태프가 코트에 들어와 상대 선수의 슈팅을 고의적으로 막은 경우 (+페널티드로)
이때, 해당 팀의 코트 내 선수 1명에게 대신하여 일시 퇴장이 선언된다. - 의도적으로 볼을 발로 막거나 차는 경우 (킥킹)
- 일시 퇴장을 당한 선수는 자신의 팀 공격이 3회 종료될 때까지 경기에 참여할 수 없으며, 4번째 공격이 시작될 때 기록원의 허가를 받아 교대 구역을 통해 경기에 참여할 수 있다.
완전 퇴장
- 아래와 같은 반칙을 범한 경우 완전 퇴장이 주어진다.
- 일시 퇴장에 해당하는 행위를 지속적으로 반복할 경우
- 경기와 관계없이 고의적으로 다른 선수에게 폭력 또는 과도한 신체적 물리적 접촉을 행사한 경우
- 경기와 관계없이 고의적으로 다른 선수에게 볼을 던지거나 위협적인 플레이를 한 경우
- 기타 다른 선수의 안위를 위협하는 비신사적인 행위를 범한 경우
- 완전 퇴장을 당한 선수는 해당 시점으로부터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경기에 참여할 수 없다.
승부던지기
- 세트 경기 종료 후 경기 결과가 무승부일 때 승 무 패 또는 무 승부 던지기를 진행한다.
- 팀별로 5명의 선수를 선정하여 슈팅 순서를 정하고 순서대로 센터라인에 집결한다.
- 양 팀 주장이 가위바위보를 통해 선공/후공을 결정하고 팀별로 한 명씩 번갈아 골에리어라인에서 슈팅한다.
- 승부던지기의 득점 또한 일반 득점 상황과 동일한 득점 기준이 적용된다.
- 페널티드로는 심판의 휘슬 후 3초 이내에 골대를 향해 슈팅함으로써 시행된다.
- 페널티드로 수행 시, 라인 크로스 규칙을 어기거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기준발이 바닥에서 떨어진 경우 득점이 무효 처리된다.
- 팀별로 5명이 모두 슈팅을 진행하며 득점의 총점이 더 높은 팀이 최종 승리한다.
- 5명 모두 슈팅을 마쳤음에도 동점인 경우 승부가 결정될 때까지 1명씩 나와 승부 던지기를 수행한다.